안녕하세요.
일본 시장 진출의 성공 파트너, "제이 브릿지" 컨설팅 컴퍼니입니다.
2025년 4월, 일본은 글로벌 통상 질서 변화와 산업 전환의 중심에서 복합적인 경제 대응 전략을 수립 중입니다. 미일 관세 협상을 포함한 외교 현안부터 자율주행 기술 육성, 글로벌 시장 확대, 급등하는 식료품 물가, 공급망 재편까지 다양한 이슈가 맞물리며 산업계와 정부의 긴박한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일본 경제의 주요 변화 흐름 4가지를 포커스, 정책, 시장·트렌드, 공급망 측면에서 정리합니다.
관련 포스팅을 확인하세요!
[일본 경제 브리핑25-13호] 관세 리스크, 임금 인상, 희토류 공급망...일본 산업계의 대응 전략
[일본 경제 브리핑25-13호] 관세 리스크, 임금 인상, 희토류 공급망…일본 산업계의 대응 전략
안녕하세요.일본 시장 진출의 성공 파트너, "제이 브릿지" 컨설팅 컴퍼니입니다.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정책 부활 움직임과 더불어 글로벌 공급망 재편, 인건비 급등, 자원 수급 불균형
j-bridge.tistory.com
일본 정부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의제를 관세와 환율로 분리, 담당 각료를 지정하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습니다.
* 관세 : 아카자와 료세이 경재재정재생상 / 환율 : 가토 가쓰노부 재무상
초기에는 대미 투자를 강조했으나, WTO 질서와 자유무역 원칙을 전면에 내세우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했습니다.
정부와 여당은 협상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언론은 향후 번복 가능성과 미국 측의 전략적 요구 확대에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2040년까지 GDP 980조 엔 달성을 목표로 ‘산업구조 비전’을 수립했습니다.
* 산업구조비전이란? 경제산업성이 중심이 되어 책정하는 장래의 산업 구조에 관한 장기적 비전으로, 경제성장의 실현이나 사회변화에의 대응을 목표로 하여 구체적인 정책이나 목표를 제시하는 것이 특징 * 자본스톡이란? 공장 기계설비나 소프트웨어 등 기업활동에 필요한 설비의 총량을 의미하며, 구체적인 내역을 밝혀 기업의 설비투자를 촉진하는 것이 목표 |
한편, 일본 정부는 자율주행 레벨4 실용화를 위해 전국 10개 지역을 선정해 수억 엔 규모의 지원을 검토 중입니다.
일본 기업들은 급성장 중인 인도 가전시장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보고 적극 진출 중입니다.
한편, '2024년 일본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2.7% 상승했습니다.
일본 자동차 기업들은 미국 관세 리스크 회피를 위해 공급망 전략을 재편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공급망 재편은 단기적으로는 비용 부담이 크지만, 장기적 관세 회피와 환율 리스크 분산을 위한 전략적 조치로 분석됩니다.
[미국 판매에서 생산처가 차지하는 비중]
일본은 통상·기술·노동·자원 등 여러 리스크에 노출된 상황 속에서 구조 전환과 글로벌 전략의 재설계를 진행 중입니다.
관세 협상, 자율주행 기술 육성, 해외 시장 확대, 물가 안정화, 공급망 재편까지 전방위적인 대응 전략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향후 이 정책과 투자가 실제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지가 관건입니다.
본 글의 출처 : KOTRA 도쿄무역관 경제통상협력 데스트 [일본 경제 브리핑 25-14호]
[일본 경제 브리핑25-15호] 트럼프 2기와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속 일본의 생존 전략 (4) | 2025.04.28 |
---|---|
[일본 경제 브리핑25-13호] 관세 리스크, 임금 인상, 희토류 공급망…일본 산업계의 대응 전략 (3) | 2025.04.14 |
[일본 경제 브리핑25-12호] 반도체부터 관세 전쟁까지, 일본 경제의 현주소 (1) | 2025.04.11 |
[일본 경제 브리핑25-11호] 미·중 갈등 속 일본의 경제안보 전략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4) | 2025.04.07 |